[경제 공부] 화폐란 무엇인가?

화폐를 정의하는 입장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목적론
계보학
존재론
- 목적론
화폐의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화폐의 기능은 크게 '교환의 매개체' '계산의 단위' '가치의 저장' 세 가지이다.
- 교환의 매개체 = 재화를 교환하기 위한 매개물 역할
- 계산의 단위 = 가치를 계산할 때 화폐로써 평가함 ex. 어떤 사람의 연봉, 물건의 가치, 태풍 피해 예상 금액 등...
- 가치의 저장 = 미래의 소비를 위해 저장을 하는 자산 기능
2. 계보학
화폐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 논한다.
화폐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비롯되었나 혹은 국가의 창조물인가
상품화폐이론: 화폐는 시장에서 자연스레 발생했다. 화폐는 물물교환을 하면서 자주 교환되었던 상품이 화폐가 되었다.
국가화폐이론: 화폐는 국가의 창조물이다. 세금을 징수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한 것이 화폐다.
*MMT의 기원이 되는 이론: 국가의 신뢰가 무너지지 않으면 마음대로 화폐를 발행해도 된다.
3. 존재론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관념 체계에 의해서 '일반적 지불수단'으로서의 사회적 지위가 부여된 것이 화폐다.
엄밀히 말하면 화폐는 내재적 가치가 없는 종이 쪼가리에 불과하다. 종이돈이 화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의 통용된 인식이 합의한 결과물인 것이다. 따라서 사회 관념이 바뀌어 화폐로서의 지위가 상실하면 더 이상 화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ex. 엘살바도르, 교도소 담배)
- 그렇다면 화폐는 일반적 지불수단으로서 어떤 지위를 갖고 있는가?
- 영역 = 세금, 선물, 비용 지불 등 모든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공간 = 모든 나라에서,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시간 = 시간이 지나도 일반적이다.
-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종이 쪼가리를 화폐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인가?
이는 국가화폐이론과 연관이 깊다.
국가가 법으로 규정하여 모든 사람들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국가는 단순히 화폐 사용을 공표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뢰를 잃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이를 통화정책이라고 한다.
*국가가 규정하지 않은 화폐 예시
지역화폐, 암호화폐, 기업 발행 화폐 등.
(*공부한 것을 정리한 것뿐입니다. 틀린 부분이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매너 있는 피드백은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