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크립토

[차트분석] 2023.01.04 BTC 장단기 시나리오

초심야수 2023. 1. 4. 15:55

1.  라지 ABC 조정의 종료 후 상승장

2. 임펄스 A-3파 완성

 

<단기 시나리오>

1번이든 2번이든 크게 중요하지 않다. 결국 현재 저점을 형성했다면

1번은 상승장, 2번은 4파동으로 반등한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다.

 

11월 21일 저점은 ABC로 하락해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원투원투원투로 카운팅 할 수도 있으나 현재 파동간 주봉 RSI 상다가 컨펌이라는 점, 소파동이 일봉 상다로 저점을 형성했다는 점 그리고 여전히 주봉 MACD 정배열 상태라는 점을 참고했을 때, 하락이 종료되었거나 혹은 종료가 임박하다는 것으로 보는게 더욱 합리적인 판단일 것이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좀 더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마지막 하락파동이 ABC가 유력하기 때문이다.

 

 

반등모양 또한 채널로 베어플래그를 그렸고 플래그의 하락 또한 임펄스로 카운팅되어 추가 하락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단, 채널이 소파동 A파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상승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ABC로 하락했다면 엔딩다이아고날로 연장될 확률이 높다.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면서 주봉 MACD 정배열과 주봉 RSI 우상향을 유지하고 3파 5파동 간 일봉 RSI 상다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반등하지 않을까 예상한다. 

 

현재가 저점일 가능성도 있는데 하락 직전 매물대 모양이 수렴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확하게 수렴으로 카운팅은 안된다.


하락의 끝이 가까워지고 있는 것일까

 

월가 대형은행 70%가 올해 미국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다.

중국은 어설픈 방역정책으로 다시 한번 전세계에 코로나를 전파 중이다.

급격한 금리인상 + 중국발 코로나로 인해 미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경기침체가 가시화 될 때 즈음에는

미국의 경기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기 시작할 것이고,

비트도 그러한 기대감을 동반하여 반등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2020년 코로나 펜대믹은 만달러 이하의 비트코인을 6만달러 이상까지 상승시켰다.

또다시 위기는 곧 기회가 될 수 있을까?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