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다이어리
[주식 공부] 거래량으로 타점잡기 본문
거래량의 원리
기본적으로 매도잔량은 매도하기 위한 물량으로 꽉 참.
매수잔량은 조금이라도 더 밑에서 사겠다는 사람들이 걸어둠.
이때,
거래량이 확 증가한다 = 시장가로 지르는 사람이 많다.
거래량이 확 준다. = 현금화하려는 사람들이 시장가로 매도한다.
정상적인 상황 = 거래량이 확 줄었을 때 하락
비정상적 상황 = 긴 시간 횡보하거나 저점이 올라감.
=> 누군가 더 안떨어지게 호가를 채우는 것(세력매집)
이런 자리에서 앞으로 나올 이슈가 살아있는 종목 + 거래대금이 엄청 크게 터졌던 종목 +a = 기술적 반등 확률 UP
거래량이 적은데 장대음봉이 터졌다면?
= 다음날 갭상 가능성 있음. 악재가 있으면 큰 거래량과 함께 하락.
주의할 점!
차트상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매매 X
여러가지 근거(재료, 과거 큰 거래대금, 이슈 등)이 오버랩될 때 진입.
(예시)


'공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공부] 박스권 돌파 (0) | 2022.09.16 |
---|---|
[주식 공부] 프로그램 매수의 영향 (0) | 2022.09.16 |
[주식공부] 비중조절 (0) | 2022.09.16 |
[주식 공부] 수급주, 세력주 구분하기 (0) | 2022.09.16 |
[주식 공부] 상승장 눌림매매 (0) | 2022.09.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