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부/경제 (6)
트레이딩 다이어리
철강산업은 경기에 굉장히 민감. 즉 철강산업을 캐치하면 경기 사이클을 이해할 수 있음. 2008년 중국의 값싼 인건비로 세계적인 공급과잉이 일어나 한번도 호황을 겪는 일이 없었음. 다만 중국의 엄격한 친환경 전환으로 중국내 철강 생산이 적어짐 이에 따라 세계적 공급과잉이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있음. 철강은 원재료 가격에 큰 영향을 받음. 따라서 철광석 선물 지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한국광물자원공사) 수요비중: 건설, 자동차, 전기전자, 조선(전방산업) 공급과 수요를 탄력적으로 늘리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경기가 활황일 때 설비를 늘리는 건설업종의 철강 수요가 증가하면서 고로를 늘리며 매출이 좋아지지만 공급이 과잉이 되면서 다시 침체기를 맞는 사이클이 반복되었음. 요즘은 이러한 패턴을..
8월 26일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잭슨홀 미팅에서 "사회적 비용을 치르더라도 인플레를 낮추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겠다."라고 단호한 입장을 취하며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 금리를 높일 것이란 의도를 분명히 했다. 두 차례의 빅 스텝에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면서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던 미 증시는 큰 갭하락과 함께 조정장에 돌입했고 한국 증시도 이에 따라 하락하고 있다. 여기서 드는 한 가지 의문점은 도대체 먼 나라 미국의 금리 인상이 국내에 왜 이리도 큰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지난 7월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를 추월했다. 역사적으로 한국의 기준금리는 미국 기준금리보다 높을 때가 훨씬 많았다. '금리 역전'을 거론하며 재앙이 닥칠 것이란 뉴스가 쏟아지기 시작했고 얼마 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자동차 산업은 대체로 가치주이자 경기민감주이며 최근 전기차 산업은 성장주 성향을 띈다. 자동차는 경기변동과 밀접하다. 자동차 산업은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경제적 해자가 존재한다. 자동차 산업의 밸류체인의 경우 플랫폼 비즈니스의 승자독식 체제와 다르게 복잡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밸류체인 하단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이 존재한다. 현대자동차의 주요 사업구조는 크게 자동차, 금융, 기타 산업으로 나뉜다. 금융의 경우 현대캐피탈이 대표적이고 기타 산업의 경우 철도 기업인 현대 로템이 있다. 금융과 기타 산업은 현대자동차에서 큰 가치 창출을 하고있진 않다. 현대 로템의 경우 대북주로 잘 알려져 있다. 현대자동차는 내수보다 수출비중이 높다. 아시아 시장의 경우 중국시장이 가장 크며 ..

화폐를 정의하는 입장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목적론 계보학 존재론 목적론 화폐의 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화폐의 기능은 크게 '교환의 매개체' '계산의 단위' '가치의 저장' 세 가지이다. 교환의 매개체 = 재화를 교환하기 위한 매개물 역할 계산의 단위 = 가치를 계산할 때 화폐로써 평가함 ex. 어떤 사람의 연봉, 물건의 가치, 태풍 피해 예상 금액 등... 가치의 저장 = 미래의 소비를 위해 저장을 하는 자산 기능 2. 계보학 화폐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 논한다. 화폐가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비롯되었나 혹은 국가의 창조물인가 상품화폐이론: 화폐는 시장에서 자연스레 발생했다. 화폐는 물물교환을 하면서 자주 교환되었던 상품이 화폐가 되었다. 국가화폐이론: 화폐는 국가의 창조물이다. 세금을 징수하기 위한..
(*혼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 뿐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매너 있는 피드백은 환영입니다.) 어젯밤 美 CPI가 발표되면서 증시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물가지수는 8.3%로 이전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전문가들이 예상한 수치보다 높았던 점이 시장에 공포로 다가온 것이다. 미국 증시는 크게 하락했고 특히 나스닥은 이날 5% 폭락했다. 달러는 1390원을 돌파하여 1400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로써 9월 20일~21일 FOMC서 연준은 0.75%p의 빅스텝을 넘어 1%p의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할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은행 이처럼 중앙은행(한: 한국은행, 미:FED)은 정부와 독립된 기관으로서 금리인상을 통해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중앙은행은 물가안..
(*공부한 것을 정리한 것 뿐임돠.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환영임돠.) 2차전지 산업은 아직 태동기다. 2차전지는 독점하는 형태가 아닌 밸류체인 하단에 다양한 기업이 존재하므로 투자 기회가 많다. 현재 배터리는 완성형이 아니며 완성형 배터리로 나아가고 있는 시장. 기초과학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하며 진입장벽이 굉장히 높은 시장 따라서 신규진입자들이 들어오기 어려움. 국내 대표 기업: LG화학(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CATL 1위, LG화학 2위, 삼성 SDI 678위 CATL과 LG화학은 비등비등함.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에서 따라올 수 없는 많은 완성차 업체들과의 수주 덕에 전환비용 이점. 세계 전기차 시장의 3분의 1 점유. 오래된 만큼 다른 기업에 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