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다이어리
[경제 공부] 자동차 산업 본문
자동차 산업은 대체로 가치주이자 경기민감주이며 최근 전기차 산업은 성장주 성향을 띈다.
자동차는 경기변동과 밀접하다.
자동차 산업은 규모의 경제를 갖춰야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경제적 해자가 존재한다.
자동차 산업의 밸류체인의 경우 플랫폼 비즈니스의 승자독식 체제와 다르게 복잡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밸류체인 하단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기업이 존재한다.
현대자동차의 주요 사업구조는 크게 자동차, 금융, 기타 산업으로 나뉜다.
금융의 경우 현대캐피탈이 대표적이고 기타 산업의 경우 철도 기업인 현대 로템이 있다.
금융과 기타 산업은 현대자동차에서 큰 가치 창출을 하고있진 않다.
현대 로템의 경우 대북주로 잘 알려져 있다.
현대자동차는 내수보다 수출비중이 높다.
아시아 시장의 경우 중국시장이 가장 크며 중국시장은 2009년 미국을 제치고 수출비중 1위에 등극했다.
현대자동차는 원자재 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수혜를 받는 종목은 아니다. 오히려 원자재 납품 회사에서 오른 비용을 부담하고 파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자재가격 상승 = 매출증가 라는 단순식이 적용되지 않는다.
최근 전기차 R&D 투자를 많이 하고 E-GMP 플랫폼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자동차를 지원하는 후방산업으로 자동차 부품을 차질없이 제공하고 A/S, A/S부품을 제공한다. 후방산업은 소재, 전기 전자, 비철금속, 철강 산업등과 연관이 깊다.
현대모비스는 주행보조 시스템 납품, 미래차에 대한 비중을 크게 담당하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 환위험이 가장 큰 리스크이고 가격과 이자율은 비교적 미미한 편이다.
(*혼자 공부한 내용을 나열한 것 뿐입니다. 매너있는 피드백은 환영입니다.)
'공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공부] 경기민감 산업(철강) (0) | 2022.09.17 |
---|---|
[경제 공부] 美 금리 인상이 도대체 왜 난리야? (0) | 2022.09.16 |
[경제 공부] 화폐란 무엇인가? (0) | 2022.09.16 |
[경제 공부] 통화정책 (0) | 2022.09.16 |
[경제 공부] 2차전지 산업 분석 (0) | 2022.09.16 |